PM

[항해PM코스] PM이라면 꼭 알아야 하는 용어 모음집

지난 주 토요일,

드디어 3개월간의 PM코스 대장정이 시작되었다.

첫 시간이니만큼 PM이 어떤 직무인지 기초적으로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는데,

그동안 몇번씩 들어보긴 했지만 정확히 알지 못했던 용어들이 자꾸 튀어나와서 이참에 싹- 정리해보고자 이 글을 쓰게 되었다 ㅎㅎ 

(이런 용어같은거 물어보기 은근 애매하잖아요...?ㅎ0ㅎ)

 

아는 것도 다시 보자라는 마음으로 최대한 많은 것을 적을 예정!

 

 


 

 

프로젝트 용어

1. Client

흔히 클라이언트라고 하면 '고객' 이라고 생각하지만, 개발 프로젝트에서의 클라이언트는 고객이 사용하는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스마트폰, 노트북, 데스크탑 등...

그래서 클라이언트 개발자라고하면 보통 안드로이드 개발자, iOS 개발자, web 개발자를 의미한다.

 

 

2. OS (Operating System)

OS(운영체제)는 사용자가 디바이스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다. 인간으로 치면 디바이스는 몸, 운영체제는 뇌라고 생각하면 된다. PC OS는 대표적으로 윈도우, Mac OS가 있으며 모바일 OS는 Android, iOS가 있다.

 

 

3. Native App / Hybrid App

네이티브앱은 각 OS에 맞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개발된 앱으로 해당 OS 에서만 구동된다.  Android 환경에서 개발된 앱은 iOS에서 사용할 수 없으며, iOS에서 개발된 앱은 Android에서 사용할 수 없다. 네이티브로 개발된 앱은 실행, 반응 속도가 빠르며 UI도 화려하다. 그러나 수정을 할 때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앱 마켓 심사를 거친 후 사용자들에게 업데이트까지 유도해야 하므로 배포 유연성이 부족하다. 

 

하이브리드앱은 네이티브 앱의 불편한 배포 과정을 해결하기 위해 생겨난 개발 방법이다. 전체적인 프레임(모양)은 네이티브로 개발되었지만, 프레임 내의 구성요소들은 웹뷰(web view)의 형태로 web 화면을 띄워놓는다. 수정이 거의 되지 않는 부분은 네이티브로, 수정이 빈번한 부분을 웹뷰로 올리게 되는데 예를 들자면 GNB 영역은 네이티브,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웹뷰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하지만 하이브리드 앱의 정확한 구조를 보려면 API 문서를 보는 것이 가장 확실하다. 

 

 

4.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한국말로는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라고 하는데, 쉽게 이야기해서 특정 프로그램을 개발/연동하기 위해 지켜야 하는 규칙을 의미한다.

앱이나 웹이 구동되기 위해선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 즉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을 주고 받으면서 데이터가 옮겨지게 되는데 이때 필요한 것이 API다. 서버 개발자가 먼저 서버 주소를 정의해주면 클라이언트는 그 정해진 주소로 요청을 보내게 된다. 

또는 소프트웨어가 다른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쓸 때도 API를 사용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특정 서비스에 카카오 로그인을 연동한 경우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에서 로그인을 시도했을 때 카카오 API를 통해 이 사용자가 맞다, 아니다의 정보를 받아오게 된다. 

 

 

5. GNB / LNB

GNB(Global Navigation Bar)는 웹 사이트 화면 상단에 위치한 메뉴들, 앱에서는 화면 하단에 위치한 메뉴들을 의미한다. 

사이트/앱 전체에 존재하는 생태계 최상위 버튼이기 때문에 모든 페이지에 동일하게 존재하며, 어느 페이지에서건 GNB에 있는 메뉴를 선택해 다른 메뉴로 이동할 수 있다. 

 

LNB(Local Navigation Bar)는 GNB와 다르게 일부 페이지 또는 일부 하위 영역에만 존재하는 메뉴들이다. 예를 들자면 쿠팡의 특정 카테고리 하위에만 존재하는 메뉴들

 

 

6. 웹링크 / 딥링크

웹링크는 '웹에서 사용하는 링크'의 줄임말로 웹에서 특정 웹페이지에 바로 접속할 수 있게 만들어진 명령어를 의미한다. 보통 url 주소를 웹링크로 이용한다. 

 

딥링크는 웹링크와 비슷한 개념이지만 웹이 아닌 앱 내 특정 화면으로 랜딩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웹은 페이지가 기본 구조로, 개발을 진행하며 페이지별 웹 링크(url)가 자연스럽게 생성되지만, 앱의 경우 페이지 단위 개발이 아니기 때문에 앱의 특정 화면으로 이동하는 것이 필요하다면 개발자에게 요청하거나 딥링크 생성 로직을 통해 별도 딥링크 생성 과정을 거쳐야 한다.

 

 

7. Waterfall (워터폴)

문제 - 디자인 - 개발 - 테스트 순으로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흐름이 마치 폭포수처럼 아래로 이어진다고 해서 워터폴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우는 개발 방법이다. 에이전시에서 많이 쓰는 개발 방법으로 나 역시 워터풀로 지금까지 일해왔다. 

 

 

8. Agile (애자일)

문제 - 디자인 - 개발 - 테스트 순으로 앞을 예측하며 개발하지 않고, 일정한 주기를 반복하여 끊임없이 프로토타입을 만들어내며 필요할 때마다 요구사항을 더하고 수정하여 커다란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방법이다.

 

 

9. Scrum (스크럼)

애자일을 이상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하는 애자일 프레임워크 중 하나로, 스프린트라는 개발 주기를 정해서 관리하는 조직에 적합하다. 요구사항 변경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지만 프로젝트 일정과 비용의 정확한 예측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10. Sprint (스프린트)

특정 기능에 대한 기획 - 개발 - 리뷰 작업의 최소 단위 사이클 (1주~4주)

 

 

11. Product Backlog (제품 백로그)

제품 개발에 필요한 모든 요구사항을 우선순위에 따라 나열한 목록

 

 

12. Daily Scrum (데일리 스크럼)

어제 한 일 / 오늘 할 일 & 이슈를 공유하고 해결하는 시간

 

 

13. Scrum Master (스크럼 마스터) 

스크럼 진행자

 

 

14. Sprint Planning (스프린트 플래닝)

백로그에 있던 요구사항 중 이번 스프린트에서 진행할 것들을 리스트업 하는 것. 누가, 어떤 백로그를, 어느 정도 기간 동안 할 것인지 정하고 공유한다.

 

 

15. MVP (Minimum Viable Product)

최소 기능 제품. 스타트업이 적은 노력을 들여 잠재 고객에 대한 의미 있는 데이터를 빠르게 수집할 수 있도록 해주는 초기 단계의 제품으로, 사용자 니즈를 검증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능만 담아서 출시하는 것이다. 


16. PMF (Product Market Fit)
제품이 시장의 니즈와 요구에 부응하는 것을 의미하는 제품 시장 적합성


 


 

 

데이터 분석 용어 

1. MAU / DAU 

MAU (Monthly Activity User)는 월간 활성사용자로 30일 기준 활성화 유저수를 의미한다. 한 달에 몇 명이나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지 측정할 때 사용한다. 보통, 사용자 키가 있는 경우 그 키를 기준으로 구성되며 당연히 회원수와는 다르다. 

 

DAU (Daily Activity User)는 일별 활동 이용자에 대한 수치이며, 하루에 몇 명이나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지 측정할  사용한다. 

 

 

2. AARRR (해적지표)

Acquisition, Activation, Retention, Referral, Revenue의 줄임말로 고객의 유입부터, 활동, 재방문, 추천, 구매까지 이르는 각 단계를 사용자 행위에 따른 분석 방법이다.

 

 

3. Cohort Analysis (코호트 분석)

특정 기간 동안 공통된 특성이나 경험을 가지는 사용자 집단을 분석하는 것으로 일종의 행동 분석 방법이다.

 

 

4. Funnel (퍼널)

프로덕트에 접속 후 이탈까지의 고객 흐름을 의미한다. 커머스를 예로 들자면 '유입 > Splash > Home > 상품 리스트 > 상품페이지 > 구매 > 결제 > 이탈 > 재방문' 이렇게 정리할 수 있다. 특정 funnel 영역별로 전환율 모니터링 및 추적을 통해 지표 기반으로 프로덕트를 개선한다. 

 

 

5. TAM (Total Addressable Market)

전체 시장으로 제품 및 서비스의 카테고리 영역을 포함하는 비즈니스 도메인 크기를 의미한다.

 

 

6. SAM (Service Available Market)

유효시장이라고 하며, TAM내의 스타트업이 추구하는 비즈니스 시장 규모를 의미한다.

 

 

7. SOM (Service Obtainable Market)

수익시장이라고 하며, 유효시장 내에서 초기 단계에 확보 가능한 시장 규모를 의미한다.

 

 

8. Vanity Metrics (허영 지표)

중요한 것처럼 느껴지지만 실제로는 추상적이고, 더 안 좋게는 사람을 속이고 현혹시키는 지표이다.

 

 

9. Bounce rate (이탈률)

사용자가 처음 방문한 랜딩 페이지만을 보고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지 않은 채 사이트를 떠난 비율

 

 


 

 

마케팅 용어 

1. On-SIte (온사이트)

온사이트는 사용자가 우리 서비스에 접속한 상황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온사이트 마케팅은 타겟이 서비스에 접속한 상황일 때 실시간으로 개인화된 메세지를 보낸다거나 해서 사이트 내에서 마케팅 활동을 하는 것이다. 조금 더 덧붙이자면, 사이트(앱 또는 웹)는 고객을 홀리기 위한 수많은 구좌(영역)들이 존재한다. 그 구좌의 운영을 담당하는 사람이 온사이트 마케터이며, 이들은 구좌들을 활용하여 매출을 발생시키는 마케팅을 한다. 어느 영역에 언제, 무엇을, 어떤 이미지와 텍스트와 함께 노출해야 구매율이 올라갈까?라는 고민과 액션을 하는 것 말이다.

 

 

2. CPC (Cost Per Click)

소비자가 광고를 1회 클릭할 때마다 발생하는 광고 비용 (클릭 당 비용)

 

 

3. CPV (Cost Per View)

광고를 시청/재생한 만큼 비용을 부과하는 방식

 

 

4. CPM (Cost Per Mile)

1,000번 노출 당 비용. (예산/노출)*1000으로 계산할 수 있다.

 

 

5. CTR (Click Through Rate)

광고 노출시켰을 때 몇 명이 클릭했는지 나타내는 지표. (클릭수/노출회수)*100로 계산할 수 있다.

 

 

6. CVR (Conversion Rate)

전환률.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광고를 본 후 행동을 전환했는지 측정하는 방법.

 

 

7. CTA (Call To Action)

사용자가 그냥 지나치지 않고 어떤 행동을 하게끔 유도하는 것을 의미.

 

 

8. CLV (CLTV, Customer Life Time Value)

고객 생애 가치

 

 

9. CAC (Customer Acquisition Cost)

고객 확보 비용

 

 

10. ASO (App Store Optimization)

앱 스토어 리스트를 최적화하여 사용자가 쉽게 찾고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하는 과정

 

 

11. GRP (Gross Rating Points)

시청률의 합

 

 

12. Stickness (몰입도)

고객이 제품을 얼마나 반복해서 구매하고 싶어 하고 주위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싶어 하는지 나타내는 것.

 

 

13. Viral Loop

구전 확산.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한 사람이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전체적인 과정

 

 


 

 

목표 관리 용어 

1.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핵심 성과 지표로 사업의 최종 목표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정을 측정하는 중간지표.

 

 

2. OKR (Objective and Key Result)

회사 또는 구성원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Objective라고 하며 이것을 달성했는지 측정하고 모니터링 하는 것이 바로 핵심 결과 지표인 Key Result 이다. Objective는 매출이나 성장률 같은 측정 가능한 지표가 아닌 구성원들을 동기를 부여시키는 메시지를 담은 정성적 지표여야 하고 이것이 KPI와 가장 큰 차이점이다. 

 

 

3. MBO (Management By Objectives)

목표에 의한 관리로 조직목표와 개인의 목표를 통합하여, 각각의 종업원의 자주성을 중시하면서 기업실적의 향상을 지향하는 매니지먼트 기법.

 

 

 

 

 

 

*참고 및 출처 
https://brunch.co.kr/@kiril/13

 

PO린이를 위한, 프로덕트 오너 필수 용어 -1-

Product Owner 프로덕트 오너가 자주 사용하는 용어와 정의 | 생각나는 것부터, 어렵지 않은 용어들부터 정리해보겠다. 아래와 같은 의문은 품지 말아 주시길 바란다. 이건 왜 없어? 이게 더 기초 용

brunch.co.kr

https://brunch.co.kr/@powervision/30

 

프로덕트 매니저 용어사전

스타트업 용어를 알아보자! | 필자가 생각한 프로덕트 매니저 용어를 정리해 보았다. 겹치는 것이 있을수도 있고 알파벳 순서도 아니다. 앞으로 추가할 것도 많이 생길 것이다. 혹시 더하고 싶은

brunch.co.kr

https://brunch.co.kr/@kiril/20

 

PO린이를 위한, Product '성장 지표'

프로덕트 오너가 바라보는 지표 | 프로덕트 오너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프로덕트의 성장'입니다. '성장'을 판단하는 근거엔 다양한 관점이 있을 것입니다. 많은 선택지들 중에 프로덕트 오너는

brunch.co.kr

 

 

* 항해99 PM 부트캠프 PM코스를 수강하고 작성한 콘텐츠입니다.

https://hanghae99.spartacodingclub.kr/pm

 

IT 커리어 성장 코스 항해99, 첫 취업부터 현직자 코스까지

항해99는 실무에 집중합니다. 최단기간에 개발자/PM으로 취업하고, 현직자 코스로 폭발 성장을 이어가세요. 실전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멘토링, 모의 면접까지.

hanghae99.spartacodingclub.kr